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 – 사이버 범죄, 보이스 피싱 경찰 신고 365일 24시간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사기를 당하거나 피해를 입을 경우 어떻게 신고를 해야 할까요? 사이버 수사대를 통해  1년 365일 24시간 신고가 가능합니다. 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을 알아보고, 어떤 종류의 사이버 범죄가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 - 사이버 범죄, 보이스 피싱 경찰 신고 365일 24시간

 

 

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

사이버 범죄란?

사이버 범죄란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컴퓨터나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들에게 금전적, 또는 정신적 피해를 주는 범죄를 말합니다. 정보통신이 발전할수록 사이버 범죄로 지능적으로 발달해 왔습니다. 인터넷은 물론 모바일을 통한 범죄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언제 어떻게 피해를 입을지 모르는 사이버 범죄의 종류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보통신망 침해 범죄

허가나 권한 없이 컴퓨터나 데이터 시스템에 침입해 데이터를 훼손하거나, 삭제, 변경해 놓는 행위는 정보 통신망 침해 범죄에 해당합니다.

1. 해킹

  • 허가나 권한 없이 컴퓨터, 또는 컴퓨터 데이터에 침입하는 단순 침입
  • ID, PW를 임의로 수집, 변경하는 계정 도용
  • 컴퓨터나 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를 유출, 누설하는 자료 유출 행위
  • 데이터를 훼손하거나 삭제, 변경하는 행위

2. DDos

  • 대량의 신호나 데이터 정보를 임의로 보내어 부정적인 명령을 실행하게 하여 장애를 일으키는 공격 행위

3. 악성 프로그램

  • 컴퓨터나 데이터를 훼손 시키는 프로그램을 허가 없이 설치하는 행위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상담 바로가기

 

정보통신망 이용 범죄

1. 사이버 사기

  • 정보 통신망을 이용해 물품 거래를 위장으로 금품이나 대금을 편취하는 직거래 사기 
  • 허위로 쇼핑몰을 인터넷에 올려 결제를 유도하고 대금을 편취하는 쇼핑몰 사기
  • 인터넷 게임이나 캐릭터, 게임 아이템을 통해 대금을 편취하는 게임 사기
  • 그 외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대금을 편취하는 기타 사이버 사기

2. 사이버 금융범죄

  • 피싱(Phishing) : 이메일을 통해 금융기관으로 유인, 클릭이나 링크를 통해 접속을 유도해 금융 정보를 탈취해 입금을 유도하는 범죄
  • 파밍(Pharming) : PC에서 악성 코드에 감염, 범죄에 쓰이는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여 금융 정보를 탈취해 입금을 유도하는 범죄
  • 스미싱(Smishing) : 모바일 문자 메세지를 통해 허위 쿠폰이나 인터넷 링크를 클릭하면, 악성 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 소액 결제나 금융 정보를 몰래 탈취하는 범죄 
  • 메모리 해킹 : 외부 PC에서 감염된 메모리의 악성 코드로 인해 은행 사이트의 보안 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추후 범행 계좌로 이체가 되는 피해를 입는 범죄
  • 몸캠 피싱 : 음란 화상 채팅 등에 응하게 한 후, 특정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 정보를 해킹하여 영상을 유포하겠다는 협박을 받아 금전을 갈취하는 범죄
  • 그 외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계좌로 입금을 요청하거나 탈취하는 범죄

3. 개인 위치 정보 침해

  • 이용자의 동의 받지 않고, 위치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다른 목적으로 이용, 또는 제공하는 범죄 행위

4. 사이버 저작권 침해

  • 정보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 디지털 저작물 또는 프로그램의 권리를 침해한 경우

5. 사이버 스팸 메일

  • 법률에서 금지하는 내용의 광고나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전송, 또는 기술적 조치를 취하는 행위

6. 그 외 전자 화폐 및 부정한 정보나 프로그램을 이용해 부당한 이득을 취한 기타 정보 통신망 이용형 범죄

정보 통신망 이용형 범죄의 예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상담 바로가기

 

불법 컨텐츠 범죄

1. 사이버 성폭력

  • 불법 성(性)영상물 : 정보 통신망을 통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영상물이나 이미지를 판매, 배포, 임대, 전시하는 행위
  • 아동 성착취물 : 정보 통신망을 통해 아동 또는 청소년이라고 인식이 되는 인물들의 성행위 또는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판매, 배포, 임대, 전시하는 행위
  • 불법 촬영물 유포 :  타인의 동의 없이 촬영된 신체 부위나 성행위, 사이버 성희롱 등을 영리 목적으로 판매, 배포, 임대 , 전시하는 행위

2. 사이버 도박

  • 정보 통신망을 이용해 도박 사이트나 허가된 배팅 사이트를 유사하게 제작해 도박을 유도하고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행위 

3. 사이버 명예훼손, 모욕, 사이버 스토킹

  • 정보 통신망을 이용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모욕하는 행위
  •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협박, 공포감 조성, 영상 등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스토킹 행위

4. 위에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기타 불법 콘텐츠 범죄

5. 사이버 스팸 메일

불법 콘텐츠 범죄의 예 및 개념 관련 참고 자료

 

 

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

사이버 범죄 신고는 인터넷과 모바일 홈페이지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서 신고가 가능합니다. 또한 가까운 경찰서 민원실에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홈페이지

사이버 범죄 신고 접수 대상

  • 사이버 상에서 범죄 행위(해킹, 사기, 불법 사이트)로 부터 피해를 입은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신고 가능합니다.
  • 사이버 범죄 신고는 피해자 본인만 신고가 가능합니다. 피해자의 가족이나 대리인은 경찰서를 직접 방문해 신고를 하거나 국민신문고를 이용해야 합니다. 
  • 사이버 범죄를 발견할 경우에는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의 제보하기 메뉴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환불이나, 배송 지연, 개인 간의 다툼, 약관 피해 등의 신고는 접수되지 않습니다. 

 

사이버 수사대 신고 전화번호 : 긴급신고 112 (무료) 

사이버 수사대 민원 상담 전화번호 :  182 (유료)

 

 

사이버 수사대 신고 절차

  •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을 이용해 사이버 범죄 신고를 하면 빠른 접수가 가능하니 피해 사례가 있다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버 범죄 신고 절차

 

 

지금까지 사이버 수사대 신고 방법과 사이버 성희롱 신고,  보이스 피싱 경찰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나와 가족이 정보 통신망을 통한 건전한 생활을 위해 불법적인 사이버 범죄 행위 근절에 앞장서야 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